《THINGS LEFT UNMADE 만들어지지 않은 채 남겨진 것들》 .  이지현 장시재 2인전 
2023년 1월 27일 – 2023년 2월 12일 
챔버1965
≪THINGS LEFT UNMADE 만들어지지 않은 채 남겨진 것들≫ 전시 전경, 챔버1965, 서울, 한국, 2022
더블테크웍스 기획 (강재영, 김솔지)

《THINGS LEFT UNMADE》 . Lee Ji-hyun Jang Si-jae 2-person exhibition
January 27, 2023 – February 12, 2023
chamber 1965
≪THINGS LEFT UNMADE Things left unmade≫ Exhibition view, Chamber 1965, Seoul, Korea, 2022
Planning for Double Techworks (Jaeyoung Kang, Solji Kim)
THINGS LEFT UNMADE  


무언가가 관통한 후에 남겨진 것들은 여전히 운동하고 있는 걸까?

우리는 종종 우리의 감각만으로 분별할 수 없는 것을 느끼곤 한다. 당장에 형태를 파악할 수는 없지만 분명 존재하는 것처럼 느껴지는 무엇들. 다른 사람보다 더 자주, 그리고 더 강하게 이런 감각을 마주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다. 그중 몇몇은 보이지 않거나 쉽사리 재현하기 어려운 것들을 재현하는데 몰두하기도 한다. 그들은 무엇을 재현해내고 있는 걸까? 무얼 보여주고 싶은 걸까? 2023년 더블데크웍스는 이지현과 장시재, 두 사람이 재현하는 형상에 주목하고자 한다. 재현이 대상을 향하고 있지 않다는 것은 분명하다. 챔버1965에서 공간과 평면을 갈라내는 두 작가의 작업이 어떤 진폭과 파장을 겹쳐 공명할까?
챔버1965는 많은 이들을 거친 후 이민호에 의해 전시공간이 되었다. 이곳의 단차나 벽에 남겨진 무엇(이를 T.L.U라고 할 수 있을까)은 이지현, 장시재 두 작가의 작업이 관계 맺을 새로운 환경으로 제시된다. 1965년에 멈춰있는 기둥과 지붕, 그 사이를 메우는 흙과 시멘트, 그리고 아연도금된 개비온 망으로부터 작업이 솟아오른다. 벽면에 달린 회화와 곧게 선 조각이 공기 중에서 교차한다. 공중에서 접점을 갖는 두 작가의 작업은 각 작업이 지닌 운동성으로 이내 흩어진다. 장시재의 키네틱 조각은 물리적 구동을 통해 공기를 가르며 정지 상태를 비껴간다. 이지현의 회화는 회화를 구성하는 요소들이 담고 있는 운동성을 통해 그림 밖으로 떠나간 무엇을 지시한다. 이 셋이 만들고 남긴 것은 왠지 떠나간 것들을 연상시킨다.
장시재는 철제 슬레이트와 같은 산업재료나 비닐 테이프 등, 을지로 등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일상적 소모품을 주재료로 조형물을 만든다. 주어진 공간에서 자신이 가진 재료를 활용하여 원하는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데 몰두한다. 빨간 테이프 감기, 슬레이트 두드리기 등의 반복적 동작으로 형상을 만든다. 장시재는 테이프를 뜯다 보면 비명소리와도 같은 소리가 나다가 이내 아무 소리도 나지 않는다고 말한다. 매번 반복하지만 미세하게 다른 그의 조형 행위가 일상에 깔린 전율과 긴장을 감각하게 한다.
을지로의 새벽, 숱한 망치질 속에 무언가가 파괴되는 것을 지나 새로운 형상이 된 것들을 마주하는 순간, 그의 작업은 끝없는 부서짐에도 불구하고 살아있다는 ‘말’처럼 다가온다. 그의 작품이 전달하는 ‘말’은 그가 숱하게 그려내고 만들어온 비정형의 앙상한 신체와도 이어진다. 출품작 〈무제(~2022)〉와 〈무제(2023~)〉는 가느다란 생의 고리, 예를 들면 부러질 것처럼 머리를 지탱하는 목을 두툼한 형태로 확대한 것은 아닐까 상상하며, ‘무제’ 사이로 가른 ‘시간’을 통해 그가 구분 지으려 한 것은 무엇인지 생각해본다. 작가 자신도 미처 이름 붙일 수 없는 형태들이 공간을 통과하고 분절하고 가로지른다. 반복 동작을 통해 만들어진 이런 조형들은 공간에 긴장감을 만들고 이전과 다른 분위기를 형성한다.
이지현은 삶의 환경과의 영향 관계를 토대로, 새로운 공간이 된 평면에 머무르며 이미지를 생산한다. 그가 이미지를 떼어다 생성한 이미지는 시차(時差)를 담고 있다. 그가 그린 시차는 시간의 흐름이라기보다는 그야말로 변화와 운동을 설명하는 것이다. 이지현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무작위로 선택한 기성 애니메이션 이미지의 ‘부분’을 복제해 중첩시킨다. 자신이 앱으로 생성해 낸 비정형의 이미지를 토대로 구상과 추상을 넘나들며 캔버스 공간을 얕게 쌓아 올리는데, 물감이 쌓아 올라가는 방향과, 이미지가 변형되거나, 뭉개지거나, 미끄러지는 방향 (마치 애니메이션 필름이 지나가듯하다) 사이에 끝없이 격차가 발생한다. 붓은 수직으로 물감으로 쌓아 올리지만, 이미지는 대체로 사선으로, 종종 위에서 아래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옮겨간다.
작가는 이처럼 생성된 이미지를 차용해 하나의 회화 안에서 구상과 추상을 혼재하는 방식으로 마치 분열에 가까운 운동을 거듭한다. 〈Scrunchy〉(2022)에서는 〈나의 지구를 지켜줘〉에서 차용한 고양이 이미지의 반복이 지나치게 구체적이라 생각하여 〈드래곤볼〉의 격파 장면을 중첩하기도 하고, 〈Slime1~4〉 연작에서처럼, 한 개의 회화 공간에서의 운동이 다른 캔버스로 넘어가는 도약을 보여주기도 한다.
‘THINGS LEFT UNMADE’는 이지현과 장시재 두 작가의 작업을 아우르는 제목이다. ‘만들어지지 않은 채 남겨진 것들’은 물질일 수도 있고 비물질일 수도 있다. 또는 어떤 형상으로 시/공간에 남겨진 존재일 수도 있다. 혹은 작가 그 자신일 수도 있다. 두 작가의 작품은 어쩌면 무엇인지 알 수 없는 ‘만들어지지 않은 채 남겨진 것들’을 전시 공간 안으로 어떻게든 소환해보려는 작가의 실천일지도 모른다. 작가는 자기 경험이나, 그로 인해 남은 마음을 안은 채 작업을 만들었다. 작업은 여기서 완성이 아닐 수도 있다. 작품이 공간에서 끊임없이 운동하며 머무르고 있거나 떠나가면서도 소통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으로는 작품으로 온전히 환원되지 않은 채 남겨진, 여전히 재현되지 않는 무엇도 ‘만들어지지 않은 채 남겨진 것들’일 수 있다. 챔버1965에서, 두 작가의 작품이 허공에서 마주치고, 각자의 운동을 통해 이내 흩어지는 무수한 반복이 모종의 긴장을 발생시킬 때, 혹시라도 그러한 것이 이 공간에서 느껴질 수 있을지 질문을 던지고 싶다.
2023 DOUBLE DECK WORKS 강재영 김솔지


THINGS LEFT UNMADE 
Are the things left behind after something penetrates them, still in motion?

We often feel for what our senses alone cannot discern. Clear present things that cannot be expressed, but exist. Some people go through life encountering these sensations more often and more than others. Some of them are immersed in reproducing things that are invisible or difficult to reproduce easily. What do they return and have? What do they want to show? In 2023, Double Deck Works will be held a contemporary art exhibition THINGS LEFT UNMADE(Hereinafter, T.L.U). This exhibition pays attention to the shape reproduced by two people, Jihyeon Lee and Sijae Jang. It is clear that the reproduction is not directed at the target. What amplitude and wavelength would overlap and resonate with the work of the two artists separating space and plane in Chamber1965?
After going through many people, Chamber1965 became an exhibition space by Minho Lee. What is left on the steps or walls of this place (Can we call this T.L.U?) is presented as a new environment in which the works of Jihyeon Lee and Sijae Jang will form a relationship. In 1965, the work rises from the suspended pillars and roof, the soil and cement filling the gap, and the galvanized gabion net. The painting on the wall and the upright sculpture intersect in the air. The works of the two artists, who have a point of contact in the air, are soon dispersed due to the motility of each work. Sijae Jang’s kinetic sculpture cuts through the air through physical movement and deflects from a stationary state. Jihyeon Lee's paintings direct something that is not contained in the paintings through the mobility of the elements that construct the paintings. What these three created and left behind is somehow reminiscent of things that have left.
Sijae Jang makes sculptures using everyday consumables, such as industrial materials such as steel slate and vinyl tape, which are easily accessible in places such as Euljiro. In a given space, he is immersed in creating the desired image using the materials he has. Forms are created through repetitive motions such as winding red tape and tapping slate. Sijae Jang says that when he opens the tape, it makes a sound like a scream, but then no sound at all. His formative acts, which are repeated every time but are slightly different, make one sense the thrill and tension underlying everyday life.
In the early morning of Euljiro, the moment he encounters things that have undergone destruction through countless hammerings and become new forms, his work comes to me like ‘words’ that says he is alive despite endless breakage. The ‘words’ conveyed by his work are also connected to the atypical, bony body he has drawn and created numerous times. The submitted works 〈Untitled (~2022)〉 and 〈Untitled (2023~)〉 imagined that the thin link of life, for example, the neck supporting the head as if it would break, was enlarged into a thick form, and divided between 'untitled'. Think about what he tried to distinguish through 'time'. Forms that even the artist himself cannot name pass through, segment, and traverse the space. These forms created through repetitive motions create tension in the space and form a different atmosphere than before.
Based on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with the environment of life, Jihyeon Lee stays in a flat surface that has become a new space and produces images. The images she creates by separating images contain a time gap. The gap she draws literally explains change and movement rather than the passage of time. Jihyeon Lee duplicates and overlaps 'parts' of ready-made animation images randomly selected through a mobile application. Based on the atypical images created by the app, the canvas space is stacked shallowly, crossing between figurative and abstract. There is an endless gap between them. The brush piles up the paint vertically, but the image usually moves in an oblique line, often from top to bottom, and from right to left.
The artist borrows the images created in this way and repeats a movement that is close to division by mixing figurative and abstract in one painting. In 〈Scrunchy〉 (2022), the repetition of the cat image borrowed from 〈Save My Earth〉 was thought to be too specific, so it overlapped the defeat scene of 〈Dragon Ball〉, and as in the 〈Slime 1~4〉 series, it is a single painting space. It also shows the movement of moving on to another canvas.

THINGS LEFT UNMADE is a title that encompasses the work of two artists, Jihyeon Lee and Sijae Jang. T.L.U may be material or non-material. Or it may be a being left in time/space in a certain shape. Or it could be the author himself. The works of the two artists may be the artist's practice of somehow summoning unknown T.L.U into the exhibition space. The artists created the work while holding on to her/his own experiences and feelings left over from them. The work may not be complete here. This is because the work constantly moves in space and communicates while staying or leaving.

Anything left that has not been completely returned to work and still unrepresented can be T.L.U. At Chamber1965, when the works of the two artists collide in the air and the countless repetitions that are soon dispersed through their respective movements generate some kind of tension, I would like to ask if such a thing can be felt in this space.


2023 DOUBLE DECK WORKS  Jaeyoung Kang, Solji Kim







Back to Top